저자 및 기관: 안재서 (자생한방병원), 여지윤·이숙현·이윤재 (자생한방병원 척추관절연구소), 박연철·구본혁 (강동경희대학교병원 침구과), 하인혁 (자생한방병원 척추관절연구소)
발표 저널: BMC Health Services Research
원문 링크: https://pubmed.ncbi.nlm.nih.gov/37231457/
족저근막염 환자, 여성이 남성의 1.3배 발병 비율 높아
자생한방병원, 국내 족저근막염 환자 현황 분석…주로 여름에서 가을 사이 호발
한의 진료에서 많이 실시된 치료법은 ‘침 치료’, 의과 진료는 ‘물리 치료로 나타나
SCI(E)급 국제학술지 ‘BMC Health Services Research’ 5월 호에 게재
야외활동이 많아지는 초여름 날씨에는 ‘족저근막염’이 발생할 위험성이 커진다. 장시간 보행이나 운동 등으로 발바닥 근막이 손상돼 염증을 일으키는 질환인 족저근막염은 발바닥에 심한 통증을 유발해 보행이 힘들 정도로 일상생활을 어렵게 한다. 특히 치료 중이라도 발바닥을 쓰지 않고 생활하기란 불가능에 가까운 만큼 재발이 쉬운 근골격계 질환 중 하나로 손꼽힌다.
최근 국내 족저근막염 환자 증가 추이는 상당히 가파르다. 건강보험심사평가원에 따르면 족저근막염 환자 수는 2011년 10만 6,197명에서 2021년 26만 5,346명으로 2.5배 이상 증가했다. 그러나 현재까지 족저근막염에 대한 국내 유병 및 치료 현황을 구체적으로 다룬 연구는 매우 부족한 실정이다.
이런 가운데 자생한방병원 척추관절연구소 (소장 하인혁) 안재서 한의사 연구팀은 2010년부터 2018년까지의 건강보험심사평가원 자료를 기반으로 국내 족저근막염 환자의 의료 이용 현황을 분석했다고 7일 밝혔다. 해당 논문은 SCI (E)급 저널 ‘BMC Health Services Research (IF=2.908)’ 5월 호에 게재됐다.
연구팀은 건강보험심사평가원 전체 환자 표본 (HIRA-NPS) 자료를 활용, 총 9년간 족저근막염을 진단받고 한의과 혹은 의과 진료를 1회 이상 받은 6만 79명의 환자와 22만 8,150건의 치료기록을 표본 추출해 연구 대상으로 설정했다.
연구 결과에 따르면 2010년 대비 2018년 족저근막염으로 의료기관을 찾은 환자 수는 183.53%가량 크게 늘어났다. 성비는 남성이 42.29%, 여성이 57.71%로 여성이 약 1.36배 더 많았다. 연령대는 45∼54세가 26.06%, 35∼44세가 19.54%, 55∼64세가 19.33%로 집계돼 주로 40대 전후 호발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입원 치료의 비율은 0.12%로 대부분의 치료가 외래를 통해 이뤄지는 것으로 파악됐다.
또한 질환의 계절적 특성을 파악하기 위해 9년간 분기별 족저근막염 진료 건수를 분석한 결과 공통적으로 매년 7∼9월에 해당하는 3분기에 환자 수가 늘어나는 경향을 보였다. 연구팀은 계절적으로 여름과 가을인 3분기에는 야외활동 인구가 늘어나는 데다 샌들, 슬리퍼 등 보행 시 충격 흡수가 어려운 신발을 자주 신기 때문이라고 해석했다.
이와 함께 연구팀은 족저근막염 환자의 의료 이용 내역도 분석했다. 한의과 치료 세부 항목에서는 침 치료가 15만 3,774건으로 가장 비중이 높았다. 그다음으로는 온랭 경락 요법, 뜸 치료 등의 순으로 큰 비중을 차지했다. 반면 의과 치료의 경우 열 치료, 전기 치료 등 물리 치료가 가장 많이 실시됐다. 다빈도로 이뤄진 주사 처방은 근육·피하 주사였으며 최다 처방 약물은 비스테로이드성 소염제 (NSAIDs)로 나타났다.
논문의 제1저자인 안재서 한의사는 “이번 연구는 우리나라 족저근막염의 환자의 특성, 치료 종류, 비용 등을 한의과와 의과로 나눠 동시에 분석한 첫 번째 논문”이라며 “향후 족저근막염 환자의 치료 및 관리뿐만 아니라 건강보험 수가·예산 책정 등 국가 보건정책 의사 결정을 돕는 기초 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출처: 한의신문 https://www.akomnews.com/bbs/board.php?bo_table=news&wr_id=5359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