저자 및 기관: 원지윤 (경희대학교 대학원 기초한의과학과), 방희정 (Division of Biostatistics, UC Davis), 이향숙 (경희대학교 대학원 기초한의과학과)

발표 저널: JAMA NETWORK OPEN

원문 링크: https://pubmed.ncbi.nlm.nih.gov/35323953/


서지사항

Won J, Bang H, Lee H. Effect of Partial vs Full Disclosure of Potential Assignment to Placebo on Participant Blinding, Perceptions of Group Assignment, and Trial Outcomes: A Randomized Clinical Trial. JAMA Netw Open. 2022 Mar 1;5(3):e224050. doi: 10.1001/jamanetworkopen.2022.4050.


Abstract

This randomized clinical trial investigates the effect of partial vs full disclosure of potential assignment to placebo on participant blinding, perceptions of group assignment, and clinical outcomes.


한글 요약

플라세보 대조 무작위배정 비교임상시험 (Randomized placebo-controlled trial, RCT)에서 군 배정에 대한 지식과 치료에 대한 인식이 연구결과에 영향을 미칠 수 있기 때문에 성공적인 참가자 눈가림이 이루어져야 결과의 신뢰성을 보장할 수 있다. RCT의 정보에 입각한 동의 과정에서 현재 표준적인 방법은 선택된 플라세보 또는 대조군에 관해 완전히 공개 (Full Disclosure)하는 것이다. 그러나 일부 비약물학적 시험에서는 부분 공개 (Partial Disclosure, PD)가 사용되어 왔고 이에 대한 비판이 있어 왔다. 사전 연구에서 이러한 플라세보 대조군 정보 공개의 차이 (FD 대 PD)가 참가자 눈가림에 영향을 미칠 수 있으며, 군간 효과 크기의 통합 추정치는 FD보다 PD에서 더 클 수 있다는 결과를 보고하였다. 그러나 다양한 플라세보 정보 공개 방식을 직접 비교하는 연구는 부족하므로 본 연구에서는 참가자 눈가림과 효과 크기에 대한 FD 대 PD의 효과를 지연발생근육통증 (delayed onset muscle soreness) 모델에서 침 치료 효과를 통해 비교하고자 하였다.

그 결과 PD의 경우가 FD에 비해 보다 이상적인 참가자 눈가림 시나리오에 해당하는 결과가 나왔고 효과크기는 PD가 FD에 비해 높은 경향성을 보였다. PD가 참여자들에게 수용성이 높으므로, 플라세보에 대한 정보를 어떻게 줄 것인가에 대한 보다 폭넓은 논의가 필요해 보인다.


동향분석-[연구]-img-01.png

동향분석-[연구]-img-02.png


#KMCRIC논문사사